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금값이 진짜 금값 된 이유
    아는 척 하기 딱 좋은 요즘 이슈 2021. 11. 19. 09:45
    728x90
    반응형
    금값이 진짜 금값 된 이유

     

    지난 6월 이후 5개월 만에 최고가를 기록하면서

    금값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1월 17일 순금 1돈(3.75g)의 금시세는 살 때 30만 3천 5백원, 팔 때 28만 3천 5백원이다.

     

     

     

     

    왜 오르는거야?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이 장기화 될 것이란 시장 전망 때문이다.

    미국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연방준비제도(Fed)는 이번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일 거라고 발표했다.

     

    미국 전년 동월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 추이 / 자료 : 미국 노통통계국, 뉴욕타임스

     

    하지만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인플레이션을 강화하는 지표가 나오면서 기관이나 개인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으로 금을 사들여 오르고 있는 것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물가 상승세를 뒤집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면서 총력 대응을 다짐했지만 미국 내 물가는 앞으로도 상당 기간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주목해야 할 것은?

    출처 : 뉴욕lAP연합뉴스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을 공식화하면서 코로나 19 대응을 위해 지속됐던 미국의 양적 완화가 서서호 종료 수순을 밟기 시작했다. 연준이 코로나 19 대응을 위해 시중에 풀던 막대한 돈의 양을 줄이기 시작한다는 의미다. 

     

    • 연준의 발표대로라면 내년 상반기에는 자산매입 축소가 종료되고 하반기에는 연준이 기준금리 인상 논의에 나설 것으로 보여진다. 미국 기준금리가 오르면 우리나라 기준금리도 조금 더 오를 가능성이 있는데 우리나라는 이미 금리인상 싸이클에 접어들었다고 한다.
    • 인플레이션을 헤지하는 안전자산으로는 금 외에도 외환에 투자하거나 원자재, 물가연동채권 등에 투자하는 방법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 외화예금도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헤지 : 투자자가 보유하고 있거나 앞으로 보유하려는 자산의 가격이 변함에 따라 발생하는 위험을 없애려는 시도.

    여기서 위험이란 가격의 변동을 의미하는데 가격 하락시의 손실과 가격 상승시의 이익도 포함되는 개념이다. 그러나 헤지의 목적은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것이 아니라 가격 변화에 따른 손실을 막는 데 있다. 자산의 가격변동으로 인한 손익의 변화가 전혀 없도록 하는 것을 완전 헤지라고 한다. 

    • 금에 투자하기 위해 현물 금을 사는 방법도 있지만 수수료가 비싼편이라 금 관련 ETF에 자금을 넣어두거나 KRX금거래시장에서 금 현물 통장을 만드는 방법도 있다.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