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말정산, 매년 하긴 하는데 아직도 뭔지 모른다구요?!아는 척 하기 딱 좋은 요즘 이슈 2021. 12. 29. 10:57728x90반응형
매년 해도 매년 새롭게 느껴지는 연말정산
용어부터 알자!연말정산.. 매년 하긴 하는데..
이거 왜 하는거고... 어떤 원리로 인해서 나한테 돈을 다시 주는거고
또 어쩔 때보면... 가져가질 않나... 대체 뭐야..?
(1년 후)
연말정산.. 매년 하긴 하는데..
이거 왜 하는거고... 어떤 원리로 인해서 나한테 돈을 다시 주는거고
또 어쩔 때보면... 가져가질 않나... 대체 뭐야..?...
자료=국세청 공제
='~를 덜어내다'
공제(控除). 당길(공), 덜다(제). 사전적 의미로는 ‘빼다’라는 뜻입니다.
세금 얘기할 때 등장하면 ‘특정 금액을 덜어준다’라고 해석하면 돼요.
소득공제는 ‘세금의 기준이 되는 소득’에서 얼마를 덜어준다는 뜻이고, 세액공제는 ‘내가 내야 할 세금’에서 얼마를 덜어준다는 뜻이에요. 둘 다 많이 받을수록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소득공제
소득공제는 비행기 수하물을 떠올리면 이해하기 쉬워요.
보통 비행기에 수하물을 싣기 전에 무게를 재죠. 무게에 따라 탑승객이 내야 할 요금이 달라지기 때문에 탑승 수속 전, 옷가지나 무거운 물건을 최대한 덜어내곤 합니다. 수하물 무게와 요금을 줄이는 걸 목적으로요.
소득공제도 마찬가지예요.소득(수하물)이 많을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돼 세금(수하물 요금)을 많이 내야 하니까, 세금(수하물 요금)이 매겨지기 전에 소득(수하물)을 줄이는 거예요.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에 대한 소득공제, 주택마련저축 소득공제 등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과세표준
= '세금 부과의 기준이 되는 금액'
내가 받을 수 있는 소득공제를 최대한 받아서 소득을 줄였다면, 이제 세금을 매겨야 합니다.
이때, 마지막으로 남은 소득을 ‘과세표준’이라고 불러요. 세금을 부과하는 표준이 되는 금액이라는 뜻이죠.
과세표준 금액에 따라 세율, 즉 세금을 부과하는 비율이 달라집니다.특히 소득이 많은 사람은 소득공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해요.
3억 100만 원이 나와서 40%를 적용받는 것보다, 어떻게든 소득을 줄여서 38%를 적용받는 게 이득이니까요.
세액공제
= ‘세금을 덜어내다’
과세표준에 따라 세율을 적용하고 난 값을 ‘산출세액’이라고 하는데요,이 세액에서 한 번 더 세금을 줄여주는 것이 바로 세액공제입니다.
세액공제는 ‘세액’에서 바로 공제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공제 효과를 매우 크게 실감할 수 있을 거예요.
결정세액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등 각종 공제를 적용해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세액을 결정세액이라고 합니다.
이 결정세액을 기준으로, 이전에 납부했던 세금이 많다면 연말정산을 통해 다시 돌려받고, 결정세액보다 이전에 납부한 세금이 적다면 세금을 더 납부해야 돼요.
728x90반응형'아는 척 하기 딱 좋은 요즘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해는 코로나 정말 끝난다? (화이자 '팍스로비드' , 머드 '몰누피라비르' 가격 및 구입처) (0) 2022.01.04 이번 주 주요 이슈 (0) 2022.01.03 영화관에서도 집에서도 OK! 로맨스 영화 <해피 뉴 이어> 개봉 (0) 2021.12.29 코로나 속 프랜차이즈 점포 수는 점점 늘고 있다? (0) 2021.12.29 미리 보는 이번 주 주요 이슈 (0) 2021.12.27